8 분 소요

리액트 스터디1 - state

참고 자료-state 관리

1. state로 입력에 반응하기

1. 선언형 UI 프로그래밍과 명령형 UI 프로그래밍의 차이점

리액트는?

  • 리액트는 UI를 조작하는 선언적 방법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다.
  • React에서는 직접 UI를 조작하지 않는다.
  • 대신 표시할 내용을 선언하면 React가 UI를 업데이트할 방법을 알아낸다.



선언형 UI

설명

  • 어떤 UI를 보여주고 싶은지 ‘선언’만 하면 알아서 그려준다.
  • 컴포넌트나 데이터의 배치를 통해 무엇이 렌더링 될지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된다.
  • 원하는 UI 결과값만 리턴하고 어떻게 화면에 보여지게 할 지 로직은 추상화해둔다.
  • 즉, UI를 다루는 부분은 리액트에게 위임하고 개발자는 결과에만 초점을 맞추자.


예시

  • filter, map, reduce 등의 메서드 안에 동작이 서술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자는 메서드가 어떻게 동작하는 지 알 필요 없이 그대로 선언에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const numbers = [1, 2, 3, 4, 5, 6];
    let sum = numbers
      .filter((i) => i % 2)
      .map((i) => i * 2)
      .reduce((acc, cur) => acc + cur);
    
    console.log(sum); // 18
    



명령형 UI

설명

  • UI를 조작하기 위한 과정을 컴퓨터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 어떤 로직으로 어떻게 코드를 짜야 페이지가 그려지는지 지시한다.
  •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를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 ‘과정’에 집중한다.
  • 코드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작성한다.


예시

  • 배열에 있는 숫자가 어떻게 반복되고 계산되는지에 대한 로직이 모두 드러남

    const numbers = [1, 2, 3, 4, 5, 6];
    let sum = 0;
    
    for (let i = 0; i < numbers.length; i++) {
      if (i % 2 === 0) {
        sum += numbers[i] * 2;
      }
    }
    
    console.log(sum); // 18
    



2. state가 왜 필요한가?

state란?

  • state는 간단하게 말해서 변수이다. 하지만 const, let 등으로 선언한 변수와 다르게 값이 변하면 관련 있는 컴포넌트들이 재렌더링되어 화면이 바뀐다.

  • state는 컴포넌트의 내부에서 변경 가능한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이다.

  • 일반적으로 리액트에서는 유동적인 데이터는 변수에 담아서 사용하지 않고 useState()라는 리액트 함수를 사용하여 state라는 저장 공간에 담아 사용한다.



state를 사용하는 이유

  • 변수는 변경되어도 자동으로 화면이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state는 변경되면 자동으로 화면이 바뀌기 때문에 state를 사용한다.



setState

state도 결국 객체이기 때문에, 같은 키값을 가진 경우라면 가장 마지막 실행값으로 덮어씌워지는데 이는 객체를 합치는 함수인 Object.assign()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3씩 증가

const plus = () => {
  setCount(count + 1);
  setCount(count + 2);
  setCount(count + 3);
};

콜백 함수를 사용하면 항상 최신의 값을 인자로 받아와서 처리하기 때문에 setCount(count => count + 1)를 쓰면 최신 값을 받아서 처리할 수 있다.


2) 6씩 증가

const plus = () => {
  setCount((count) => count + 1);
  setCount((count) => count + 2);
  setCount((count) => count + 3);
};



3. UI를 선언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기

예시) 비필수적인 state 변수를 제거

리팩토링 전

const [isEmpty, setIsEmpty] = useState(true);
const [isTyping, setIsTyping] = useState(false);
const [isSubmitting, setIsSubmitting] = useState(false);
const [isSuccess, setIsSuccess] = useState(false);
const [isError, setIsError] = useState(false);



리팩토링 과정

1. state가 모순을 야기하나요?

  • 예를 들어, isTyping 과 isSubmitting은 동시에 true일 수 없다.
  • 이러한 모순은 일반적으로 state가 충분히 제약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두 boolean의 조합은 네 가지가 가능하지만 유효한 state는 세 가지뿐이다.
  • “불가능한” state를 제거하려면 세 가지 값을 하나의 status로 결합하면 된다: ‘typing’, ‘submitting’, ‘success’.


2. 다른 state 변수에 이미 같은 정보가 있나요?

  • isEmpty와 isTyping은 동시에 true가 될 수 없다.
  • 이를 각 state 변수로 분리하면 동기화되지 않아 버그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 다행히 isEmpty를 제거하고 대신 answer.length === 0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다른 state 변수를 뒤집으면 동일한 정보를 얻을 수 있나요?

  • isError는 error !== null을 대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리팩토링 후

const [answer, setAnswer] = useState("");
const [error, setError] = useState(null);
const [status, setStatus] = useState("typing"); // 'typing', 'submitting', 'success'



4. ⭐️ 참고

즉, 모든 컴포넌트가 자신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setState() 를 호출하기 전까지 기다린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etState 의 호출은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setState 호출 직후 새로운 값이 state에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React는 브라우저 이벤트가 끝날 시점에 state를 일괄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React에서는 16ms 단위로 batch update를 진행한다. 16ms 동안 변경된 상태 값들을 모아 리렌더링을 진행한다. ⇒ 모니터


React에서의 setState

1. 첫번째 이유

state가 바뀔 때마다 렌더링 하면 효율성이 떨어지기 떄문이다.


2. 두번쨰 이유

내부적인 State, Props, Ref들에 대한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 React는 재조정(reconciliation) 그리고 바뀌는 작업(flush) 이후에 State과 Props를 업데이트 하도록 만들어놨다. 이렇게 state가 바로 바뀌는 것이 아닌, 바뀌는 시간을 딜레이 함으로써

state, props 등의 일관성을 유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안정성을 높인다.

state 를 생성할 떄는 ‘반드시 필요한’ ‘핵심적인’ state 부터 선언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처음부터 효율적인 state를 설계하는 것이 힘들다면, 다 적어놓고 리팩토링한다.


3. 세번째 이유

16 * 60 = 960

1000ms = 1s

⇒ 모니터의 주사율 때문이다.



2. State 구조 선택

“state를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되, 그보다 더 단순해서는 안 됩니다.”

1. 관련 state 그룹화하기

틀린 코드

const [x, setX] = useState(0);
const [y, setY] = useState(0);


올바른 코드

const [position, setPosition] = useState({ x: 0, y: 0 });



2. 깊게 중첩된 state 피하기

틀린 코드

export const initialTravelPlan = {
  id: 0,
  title: '(Root)',
  childPlaces: [
    {
      id: 1,
      title: "Earth",
      childPlaces: [
        {
          id: 2,
          title: "Africa",
          childPlaces: [
            {
              id: 3,
              title: "Botswana",
              childPlaces: [],
            },
          ],
        },
      ],
    },
  ];
};


올바른 코드

export const initialTravelPlan = {
  0: {
    id: 0,
    title: "(Root)",
    childIds: [1, 42, 46],
  },
  1: {
    id: 1,
    title: "Earth",
    childIds: [2, 10, 19, 26, 34],
  },
  2: {
    id: 2,
    title: "Africa",
    childIds: [3, 4, 5, 6, 7, 8, 9],
  },
  3: {
    id: 3,
    title: "Botswana",
    childIds: [],
  },
};



3. 컴포넌트 간의 state 공유

state 끌어올리기

설명

  • 때로는 두 컴포넌트의 state가 항상 함께 변경되기를 원할 때가 있다.
  • 그렇게 하려면 두 컴포넌트에서 state를 제거하고 가장 가까운 공통 부모로 이동한 다음 props를 통해 전달하면 된다.


틀린 예시

1


올바른 예시

2



4. state 보존 및 재설정

1. state는 트리의 한 위치에 묶인다

설명

  • 컴포넌트에 state를 부여할 때, state가 컴포넌트 내부에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하지만 state는 실제로 React 내부에서 유지된다.
  • React는 렌더링 트리에서 해당 컴포넌트의 위치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각 state를 올바른 컴포넌트와 연결한다.


다른 위치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return (
    <div>
      <Counter />
      <Counter />
    </div>
  );
}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sFancy, setIsFancy] = useState(false);
  return (
    <div>
      {isFancy ? (
        <div>
          <Counter isFancy={true} />
        </div>
      ) : (
        <section>
          <Counter isFancy={false} />
        </section>
      )}
      <label>
        <input
          type="checkbox"
          checked={isFancy}
          onChange={(e) => {
            setIsFancy(e.target.checked);
          }}
        />
        Use fancy styling
      </label>
    </div>
  );
}


같은 위치

React에서 중요한 것은 JSX 마크업이 아니라 UI 트리에서의 위치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 컴포넌트에는 if 내부와 외부에 서로 다른 JSX 태그가 있는 두 개의 return절이 있습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isFancy, setIsFancy] = useState(false);
  return (
    <div>
      {isFancy ? <Counter isFancy={true} /> : <Counter isFancy={false} />}
    </div>
  );
}



2. 동일한 위치에서 state 재설정하기

잘못된 코드

export default function Scoreboard() {
  const [isPlayerA, setIsPlayerA] = useState(true);
  return (
    <div>
      {isPlayerA ? <Counter person="Taylor" /> : <Counter person="Sarah" />}
      <button
        onClick={() => {
          setIsPlayerA(!isPlayerA);
        }}
      >
        Next player!
      </button>
    </div>
  );
}


올바른 코드

1) 컴포넌트를 다른 위치에 렌더링하기

export default function Scoreboard() {
  const [isPlayerA, setIsPlayerA] = useState(true);
  return (
    <div>
      {isPlayerA && <Counter person="Taylor" />}
      {!isPlayerA && <Counter person="Sarah" />}
      <button
        onClick={() => {
          setIsPlayerA(!isPlayerA);
        }}
      >
        Next player!
      </button>
    </div>
  );
}


2) 각 컴포넌트에 key로 명시적인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기 (props는 상관x)

  • key를 지정하면 React가 부모 내 순서가 아닌 key 자체를 위치의 일부로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 그렇기 때문에 JSX에서 같은 위치에 렌더링하더라도 React의 관점에서 보면 두 카운터는 서로 다른 카운터이다.
  • 결과적으로 state를 공유하지 않는다. 카운터가 화면에 나타날 때마다 그 state가 생성된다.
  • 카운터가 제거될 때마다 그 state는 소멸된다. 두 카운터 사이를 토글하면 state가 계속 초기화된다.
export default function Scoreboard() {
  const [isPlayerA, setIsPlayerA] = useState(true);
  return (
    <div>
      {isPlayerA ? (
        <Counter key="Taylor" person="Taylor" />
      ) : (
        <Counter key="Sarah" person="Sarah" />
      )}
      <button
        onClick={() => {
          setIsPlayerA(!isPlayerA);
        }}
      >
        Next player!
      </button>
    </div>
  );
}



5. state 로직을 reducer로 작성하기

1. reducer 함수란?

  • 한 컴포넌트에서 state 업데이트가 여러 이벤트 핸들러로 분산되는 경우가 있다.
  • 이 경우 컴포넌트를 관리하기 어려워진다.
  • 따라서, 이 문제 해결을 위해 state를 업데이트하는 모든 로직을 reducer를 사용해 컴포넌트 외부로 단일 함수로 통합해 관리할 수 있다.



2. useState에서 useReducer로 리펙토링 하는 방법

1. state를 설정하는 것에서 action을 dispatch 함수로 전달하는 것으로 바꾸기

useState 코드

function handleAddTask(text) {
  setTasks([
    ...tasks,
    {
      id: nextId++,
      text: text,
      done: false,
    },
  ]);
}

function handleChangeTask(task) {
  setTasks(
    tasks.map((t) => {
      if (t.id === task.id) {
        return task;
      } else {
        return t;
      }
    })
  );
}

function handleDeleteTask(taskId) {
  setTasks(tasks.filter((t) => t.id !== taskId));
}


useReducer로 코드

function handleAddTask(text) {
  // "action" 객체:
  dispatch({
    type: "added",
    id: nextId++,
    text: text,
  });
}

function handleChangeTask(task) {
  dispatch({
    type: "changed",
    task: task,
  });
}

function handleDeleteTask(taskId) {
  dispatch({
    type: "deleted",
    id: taskId,
  });
}



2. reducer 함수 작성하기

1. 첫 번째 인자에 현재 state (tasks) 선언하기
2. 두 번째 인자에 action 객체 선언하기
3. reducer에서 다음 state 반환하기 (React가 state에 설정하게 될 값)

function tasksReducer(tasks,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added": {
      return [
        ...tasks,
        {
          id: action.id,
          text: action.text,
          done: false,
        },
      ];
    }
    case "changed": {
      return tasks.map((t) => {
        if (t.id === action.task.id) {
          return action.task;
        } else {
          return t;
        }
      });
    }
    case "deleted": {
      return tasks.filter((t) => t.id !== action.id);
    }
    default: {
      throw Error("Unknown action: " + action.type);
    }
  }
}



3. 컴포넌트에서 reducer 사용하기

const [tasks, dispatch] = useReducer(tasksReducer, initialTasks);



6. Context를 사용해 데이터를 깊게 전달하기

1. “Prop drilling” 이란?

  • Props 전달하기는 UI 트리를 통해 명시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는 컴포넌트에 전달하는 훌륭한 방법이다.

  • 하지만 이 방식은 어떤 prop을 트리를 통해 깊이 전해줘야 하거나, 많은 컴포넌트에서 같은 prop이 필요한 경우에 장황하고 불편할 수 있다.

  • 데이터가 필요한 여러 컴포넌트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은 트리 상 높이 위치할 수 있고 그렇게 높게까지 state를 끌어올리는 것은 “Prop drilling”이라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2. “Context” 란?

  • 부모가 트리 내부 전체에, 심지어 멀리 떨어진 컴포넌트에조차 어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3. Context 사용하기

1. Context 생성하기

import { createContext } from "react";

export const LevelContext = createContext(1);


2. Context 사용하기

export default function Heading({ children }) {
  const level = useContext(LevelContext);
  // ...
}


3. Context 제공하기

import { useContext } from "react";
import { LevelContext } from "./LevelContext.js";

export default function Section({ children }) {
  const level = useContext(LevelContext);
  return (
    <section className="section">
      <LevelContext.Provider value={level + 1}>
        {children}
      </LevelContext.Provider>
    </section>
  );
}



4. Context 사용 예시

  • 테마 지정하기
  • 현재 계정
  • 라우팅
  • 상태관리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